Moochim's History

CentOS 6.6 인터넷 수동으로 연결하기 본문

My Major/Node.Js

CentOS 6.6 인터넷 수동으로 연결하기

무침이 2015. 7. 21. 14:18

이번에는 CentOS 6.6 버전에서 인터넷 연결 하는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지난번에 포스팅한 CentOS 설치(3)에서 인터넷 연결 설정을 건들지 않고

진행 하였습니다.

그래서 NodeJS나 다른 것을 다운받으려면 인터넷 연결을 하셔야 합니다.

지금부터 인터넷 연결 하는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네트워크 설정 부분은 처음 root@(호스트명 /)에서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를 입력하여 들어 갑니다. ( root@(호스트명 ~)이 처음 이면 cd ..을 눌러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그다음에 vi편집기를 통해서 커맨드창에 vi ifcfg-eth0 입력하여 들어갑니다.

 

vi 편집기를 통해 ifcfg-eth0으로 들어오면 밑에있는 화면같이 뜨게됩니다.

첫번째 줄부터 어떤 내용인지 살펴 보겠습니다.

장치의 종류
랜카드의 mac address
연결의 종류
시스템의 id
부팅시 자동실행 여부
일반 유저도 네트워크 설정이 가능하도록 할것인가의 여부
연결 형태

이런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제 추가 변경 해줘야 할 부분입니다. (vi 편집기 텍스트를 수정 하려면 a, 저장 하고 vi편집기를 종료하려면 esc누른 후에 wq, 그냥 나오려면 q or q!)

위에서 5번째 줄 ONBOOT=no 로 되어있는대 부팅시 자동실행을 위해 yes로 바꿔줍니다.

그리고 마지막줄에 BOOTPROTO=dhcp 로 되어있는대 이것을 static으로 바꾸어 줍니다. dhcp는 동적으로 자동으로 ip를 할당 받는것이고 static은 고정 ip를 의미합니다. (그런대 굳이 static으로 변경하지 않으셔도 실행 됩니다. 혹시나 안되시는 분들은 static으로 바꾸세요~)

위의 두가지 사항을 모두 변경 하셨으면 마지막으로

IPADDR=고정아이피 주소
NETMASK=subnetmask
NETWORK= gateway address       *NETWORK 대신 GATEWAY로 쓰셔도 됩니다.
DNS1= main DNS address
DNS2= sub DNS address(optional)

 

 

 

 

위의 5가지를 추가 합니다. 마지막 DNS2는 입력 안하셔도 되고 하셔도 됩니다. 

vi편집기를 esc후에 wq를 눌러 저장하고 나온다음에

/etc/rc.d/init.d/network restart 를 입력해서 네트워크를 재부팅 합니다.

ok ok ok 가 뜨면 정상적으로 작동 중입니다.

 

그후에 ping(8.8.8.8)를 입력하여 인터넷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하시면 끝!

※ 다른분들은 ping나가는게 보이는대 저같은 경우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ping(8.8.8.8) 입력하고 한 10초? 정도 지나도 컨트롤+c 를 눌러 강제 종료시키면 결과화면만 나왔습니다.

 

'My Major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press 설치하기  (0) 2015.07.21
Node.js다운로드 후 설치 하기  (2) 2015.07.21
CentOS6.6에 Node.JS 설치  (0) 2015.07.20